.
유방클리닉
Home   >   유방클리닉   >   유방양성질환
유방암 유방암검사 및 방법 유방 미세 석회 유방조직검사 유방양성질환 임신중 유방멍울 수유중 유선염

드림앤유외과

유방양성질환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약속합니다.

유방양성질환이란?


유방에 생긴 덩어리를 통칭하여 유방 종양이라 합니다. 그 중 90%는 양성으로 분류됩니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빠른 초경, 여성호르몬 노출 빈도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도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거나 피부에 주름, 함몰 현상이 나타나거나 유두 분비물이 나오면 양성 종양일 가능성이 큽니다.
통증 없는 멍울이 감지되거나 한쪽 유방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경우에는 악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유방양성질환의 종류


섬유선종
20~30대 여성에게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주로 유방 외측에서 발견됩니다. 섬유질이 주성분으로, 경계가 분명하고 움직임이 있으며 통증이 거의 없습니다. 종양 크기에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드물게 악성으로 진행될 수 있어 대부분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유관 유두종
유즙이 흐르는 유관에 형성되는 약 1~3mm의 작고 부드러운 종양으로, 젖꼭지에서 맑거나 붉은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자가 검진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조직 검사를 통해 진단 후 수술로 제거합니다.
섬유성 낭종
주로 35~50대 여성에게 나타나는 흔한 양성 종양으로, 양쪽 유방에 통증이 느껴지며, 생리 직전에 통증이 가장 심해집니다. 낭종은 생리 주기와 연관되며 폐경 후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악성 여부를 감별하기 위해 조직 검사를 시행하며, 비전형적 과증식이 발견되면 유방암 위험이 있어 절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엽상 종양
내부 구조가 나뭇잎 모양을 이루며 빠르게 자라며, 암성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드문 종양입니다. 일부는 악성으로 발전할 수 있어 정상 조직까지 포함하여 광범위한 절제술이 권장됩니다.

유방양성질환 진단 및 치료


유방 종양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월경 후 자가 검진이 권장되며, 멍울 유무, 피부 변화, 유두 분비물 여부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만약 덩어리가 발견되면 유방 전문의 상담과 유방 촬영,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악성 여부가 확실하지 않으면 조직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게 됩니다.

방사선 검사와 조직 검사를 통해 종양의 악성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합한 치료를 선택합니다. 악성 종양일 경우 유방 절제 수술과 함께 방사선, 항암, 호르몬 치료 등의 보조 요법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